인사말: 미하엘 라이펜슈툴
머리말: 알렉산더 렌너, 최광준
축적과 단편-기억으로 얽힌 도시/ 사비네 하이저
한국 국가폭력의 제도적 청산과 기억문화-사죄와 용서를 중심으로/ 정근식
독일의 기억문화와 한국에서의 시사점/ 하네스 모슬러
5・18 40주년과 기억의 과제-올바른 진상규명과 기억을 위한 형사법 이론의 과제/ 박경규
베를린 모아빗의 평화상에 관한 몇 가지 생각/ 라스 베르크마이어
독일문화원의 글로벌 문화사업에서 기억문화가 차지하는 영향/ 멜라니 보노
한국의 과거청산-역사적 개관/ 최광준
미주
(독일어 편)
Grußwort: Michael Reiffenstuel
Vorwort: Alexander Renner, Tsche Kwang–Jun
Topoi, loci, Ǖberlagerung und Fragment - Die Stadt als Erinnerungsgeflecht / Sabine Heiser
Vergangenheitsbewȁltigung und Erinnerungskultur in Korea - In Bezug auf Abbitte und Vergebung / Jung, Keun–Sik
Erinnerungskultur in Deutschland und Perspektiven auf Sȕdkorea / Hannes B. Mosler
40. Gedenkjahr der Demokratiebewegung vom 18. Mai (1980) - Beitrag der Strafrechtstheorie zur Wahrheitsfindung und Erinnerungskultur/ Park, Kyeong–kyu
Einige Betrachtungen zur „Friedensstatue‟ in Berlin-Moabit / Lars Bergmeyer
Zur Rolle der Erinnerungskultur in der weltweiten Kulturarbeit des Goethe-Instituts / Melanie Bono
Vergangenheitsbewȁltigung in Korea - Ein historischer Űberblick / Tsche, Kwang–Jun
Anmerkungen
(c)경희대학교 출판문화원
📖 한국과 독일, 과거를 마주하다: 『한국과 독일의 과거청산과 기억문화』
한국과 독일, 두 나라의 역사는 식민지배, 독재, 전쟁, 국가폭력 등으로 인해 수많은 아픔을 겪어왔습니다. 하지만 이들이 과거를 기억하고 치유하는 방식은 다릅니다. 『한국과 독일의 과거청산과 기억문화』는 이러한 역사적 경험을 바탕으로, 두 나라가 어떻게 과거를 청산하고 화해와 기억의 문화를 만들어왔는지를 깊이 탐구하는 책입니다.
📚 이 책이 특별한 이유!
✔️ 거창사건, 위안부 문제, 광주민주화운동부터 독일의 전쟁 책임과 기억문화까지, 한독 양국의 다양한 사례 분석
✔️ 한국어 & 독일어 동시 수록! 학술적 가치는 물론 국제적 교류를 위한 필독서
✔️ 주한독일대사관, 서울대·경희대 법학연구소가 공동 연구한 결과물
🎥 책 소개 영상도 함께 확인해 보세요!
아래 링크에서 더 생생한 내용을 만나볼 수 있습니다. 👇
🔗 책 소개 영상 보기
차례(Inhaltsverzeichnis)
인사말: 미하엘 라이펜슈툴
머리말: 알렉산더 렌너, 최광준
축적과 단편-기억으로 얽힌 도시/ 사비네 하이저
한국 국가폭력의 제도적 청산과 기억문화-사죄와 용서를 중심으로/ 정근식
독일의 기억문화와 한국에서의 시사점/ 하네스 모슬러
5・18 40주년과 기억의 과제-올바른 진상규명과 기억을 위한 형사법 이론의 과제/ 박경규
베를린 모아빗의 평화상에 관한 몇 가지 생각/ 라스 베르크마이어
독일문화원의 글로벌 문화사업에서 기억문화가 차지하는 영향/ 멜라니 보노
한국의 과거청산-역사적 개관/ 최광준
미주
(독일어 편)
Grußwort: Michael Reiffenstuel
Vorwort: Alexander Renner, Tsche Kwang–Jun
Topoi, loci, Ǖberlagerung und Fragment - Die Stadt als Erinnerungsgeflecht / Sabine Heiser
Vergangenheitsbewȁltigung und Erinnerungskultur in Korea - In Bezug auf Abbitte und Vergebung / Jung, Keun–Sik
Erinnerungskultur in Deutschland und Perspektiven auf Sȕdkorea / Hannes B. Mosler
40. Gedenkjahr der Demokratiebewegung vom 18. Mai (1980) - Beitrag der Strafrechtstheorie zur Wahrheitsfindung und Erinnerungskultur/ Park, Kyeong–kyu
Einige Betrachtungen zur „Friedensstatue‟ in Berlin-Moabit / Lars Bergmeyer
Zur Rolle der Erinnerungskultur in der weltweiten Kulturarbeit des Goethe-Instituts / Melanie Bono
Vergangenheitsbewȁltigung in Korea - Ein historischer Űberblick / Tsche, Kwang–Jun
Anmerkungen
도서정보 보러가기
----